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플라스크
- 위코드
- 코드프레소
- 개발스터디
- git
- AWS
- 패스트캠퍼스
- 리액트
- 스터디
- 개발
- 전문가를위한파이썬
- 코테
- flask
- 한빛
- Python
- 한빛미디어
- 예리님
- React
- 원티드
- 깃
- pyladies
- 프리온보딩
- cleancode
- codepresso
- env
- pyladiesseoul
- 환경변수
- mongodb
- fluentpython
- 파이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8)
개발자가 내팔자

cra로 프론트 페이지를 열심히 만들었는데, 나만 보기 너무 아깝다! 빨리 자랑하고 싶다! 그렇다고 배포를 하기 위해 서버를 달 순 없잖아...흑흑 귀찮아.. 이럴 때 아주 간단하게 배포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github page를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의 시간은 소중하니까 빨리 시작해보자! 1. 우선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5분만에 끝내고 싶다면 빨리 치는 게 좋다. npm i gh-pages 또는 yarn add gh-pages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문구가 뜬다. 2. package.json 파일에 들어간다. 빨리 빨리! 3. 맨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한 줄 추가해준다. "homepage": "https://{your github username}.git..

"빨리 가는 유일한 방법은 제대로 가는 것이다." 로버트 C. 마틴 (Rovert C. Martin) 코딩을 시작하고 여러 동료들을 만나면서 느끼게 된 것인데, "CS같은 것들을 몰라도, 프로그래밍의 작동 원리같은 것 쯤은 몰라도, 코드만 잘 짜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꽤 있는 것 같다. 심지어 현업 개발자인데도! 물론, 코드는 한 줄도 안 짜고 책에 파묻혀서 이론만 달달 외우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처음부터 방대한 프로그래밍 지식을 모두 알 수도 없다. 그러나 너무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을 등한시 하면 코드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이해를 하기 힘들고, 결국 자신의 코드를 신뢰할 수 없고, 책임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CS를 공부하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 기초를 다지는 것이라고 생..

스터디 중에 어떤 분이 결과가 이상하다며 코드를 보내왔는데, 내가 보기에도 이상해서 알아보게 되었다. (아래는 그 분이 보낸 코드에서 임의로 식별자 이름을 수정한 것이다.) const obj = { id:1, title:'none', cat:true, } function toggleObj(obj) { obj.cat = !obj.cat; return obj } console.log(obj); toggleObj(obj); console.log(obj); 위 코드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 것 같은가? 이미 결과를 알고 있지 않다면, 스크롤을 내리기 전에 잠시 고민을 해보기 바란다. 예상대로 로그가 잘 나온다. 하지만 여기엔 반전이 있다. 저 토글 버튼을 눌러 내부의 값을 살펴보자. ?????????????????..

코딩 테스트 문제나 풀어볼까? 알고리즘 풀기 귀찮은데 친구와 풀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제일 쉬워보이는 문제로 꾸역꾸역 풀었다... 매번 느끼는 거지만 쉬워 보이는 것들 막상 해보면 하나도 안 쉽다. 효율성 문제에 봉착 이중 반복문을 쓰지 말라는건가?????? 근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중 반복문 말고는 생각이 안났다. 어쩌라는 거지? ........ 문제... 해결? def solution(prices): answer = [] count = 0 len_prices = len(prices) for i, n in enumerate(prices): for j in range(i + 1, len_prices): count += 1 if n > prices[j]: break answer.append(count) cou..

뭐... 그렇게 됐다. 원래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것이 인생이라지 않는가. 1년 넘게 42Seoul을 진행하면서 모르는 사람들에게 내 코드를 평가 받고 모르는 사람들의 코드를 평가해주는 색다른 시간들에 충분히 익숙해졌다고 생각했는데, 처음 만난 사람과 갑자기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험은 이번이 또 처음이었다. 굉장히 새롭고 재미있는 경험이었다. 개발 환경 슬랙이 무료 버전이라 화면 공유가 안돼서 구글 밋으로 화면 공유를 하고, liveshare로 코드 공유를 했다. 페어 프로그래밍이란? 페어 프로그래밍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 중의 하나로 하나의 개발 가능한 PC 에서 두 명의 개발자가 함께 작업하는 것을 말합니다. 네비게이터(navigator)가 전략을 제시하고 드라이버(driver)가 실제 코드를 ..

안녕 여러분. 난 개발을 좋아하는 사람. 그 밖에 음악, 영화, 책, 게임을 좋아한다. 내가 좋아한다고 하는 것들은 그것을 향유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개발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MBTI는 INTP. 난 내가 내향형이라는 게 믿기지 않는다. 버그망령이 자꾸 따라다녀서 손 대는 것마다 에러가 난다. 다른 사람의 버그를 굉장히 잘 찾아주는 장점이 있지만 내가 만든 코드에서도 에러를 잘 찾아서 조금 괴로움. 오늘도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하다가 티스토리의 버그를 발견했다. (그 외에 다른 플랫폼에서도 버그를 몇 개씩이나 발견한 건 안 비밀이다.) 벨로그에 글을 쓰긴 했지만 예상치 못하게 뜨거운 반응을 받고 조금 부끄러워져서 티스토리에 일코용으로 새로 하나 팠다. 주로 IT에 관한 글을 올리는 기술 블로그가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