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코드프레소
- 파이썬
- 예리님
- React
- 리액트
- 한빛미디어
- 전문가를위한파이썬
- mongodb
- AWS
- 플라스크
- flask
- env
- 한빛
- fluentpython
- 개발
- pyladiesseoul
- Python
- 프리온보딩
- 개발스터디
- pyladies
- 패스트캠퍼스
- cleancode
- 환경변수
- 원티드
- 깃
- 스터디
- 코테
- codepresso
- git
- 위코드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가 내팔자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6 본문
TIL (Today I Learned)
2022.02.22 - 2022.02.24
오늘 읽은 범위
4장. 주석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 새로 짜라.
- 사실상 주석은 기껏해야 필요악이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코딩을 막 처음 시작했을 때, 코드가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한국어로 한 줄 한 줄 주석을 달며 이해하려고 애썼던 시절이 문득 생각났다. 마치 영어를 잘 모를 때 지문을 한 줄 한 줄 독해하듯이.. 그 뒤로는 그런 짓은 안하지만 한동안은 코드를 짜기 전에 수도 코딩 할 때 주석을 달고 한국어로 코드를 짰다. 그리고 그 한국어로 된 수도코드를 실제 코드로 번역하여 작성하고, 의도한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한 후, 주석을 제거하는 식이다. 이제는 TDD(테스트 주도 개발)을 하게 되면서 테스트가 수도코드의 역할을 대신 해주는 것 같다. 점점 코드로 읽고 쓰는 것이 익숙해지고 있는 것을 느낀다. 점점 네이티브가 되는 것 같다.
- 애초에 코드를 잘 짰으면 주석이 필요가 없다는 말 공감된다. 기록을 남기면 그걸 매번 동기화하는 등의 관리가 들어가야 하는데, 관심사가 분산되면 그게 힘들어지기 십상이다. 코드를 예쁘게 짜서 술술 익혀서, 주석이 필요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주석도 마찬가지로 간단하고 명료하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8 (0) | 2022.03.01 |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7 (0) | 2022.02.26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5 (0) | 2022.02.24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4 (0) | 2022.02.21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3 (0) | 2022.02.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