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파이썬
- 코드프레소
- React
- 플라스크
- 패스트캠퍼스
- git
- 개발스터디
- cleancode
- mongodb
- 스터디
- Python
- 환경변수
- AWS
- pyladiesseoul
- 예리님
- 한빛
- 깃
- 개발
- flask
- env
- 위코드
- fluentpython
- codepresso
- 한빛미디어
- 프리온보딩
- 전문가를위한파이썬
- pyladies
- 원티드
- 리액트
- 코테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가 내팔자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3 본문
TIL (Today I Learned)
2022.02.20
오늘 읽은 범위
2장. 의미 있는 이름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발음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라.
- 발음하기 어려운 이름은 토론하기도 어렵다. 바보처럼 들리기 십상이다.
- 발음하기 쉬운 이름은 중요하다. 프로그래밍은 사회 활동이기 때문이다.
- 좋은 이름을 선택하려면 설명 능력이 뛰어나야 하고 문화적인 배경이 같아야 한다. 이것이 제일 어렵다. 좋은 이름을 선택하는 능력은 기술, 비즈니스, 관리 문제가 아니라 교육 문제다. 우리 분야 사람들이 이름 짓는 방법을 제대로 익히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책에서 말하는 내용은 간단하다. 한 번에 한가지 일만 해라. 의도를 분명하게 드러내라. 불순물을 섞지 마라.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라... 이론은 이렇게 쉬워서 당연하지 하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데 왜 막상 코드를 짤 때는 이름 짓는 게 이렇게 어려운 걸까. 좀 더 숙련이 필요한 것 같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인터페이스 클래스 앞에 I를 붙이는 경우가 구리다고 한 점이 인상깊었다. 42서울에서 cpp할 때 인터페이스 클래스에는 관습적으로 I를 붙였는데, 관습조차도 구리다고 하는 것이 신기했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6 (0) | 2022.02.25 |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5 (0) | 2022.02.24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4 (0) | 2022.02.21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2 (0) | 2022.02.20 |
[Nomad Coder] 노개북 클린코드 챌린지 2기 Assignment 1 (0) | 2022.02.1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