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내팔자

Cloud 핵심 기술 관련 용어 정리 본문

DevOps

Cloud 핵심 기술 관련 용어 정리

야생의 개발자 2022. 5. 19. 00:25

가상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 가상 서버(또는 가상 머신)이다.
가상 서버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논리적으로 나누어 CPU, 메모리등의 자원을 할당한 것이다.
AWS에는 대표적으로 EC2가 있으며, 다양한 가격대로 구성되어 있다.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

가상화란,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를 논리적인 객체로 추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장치를 여러 개로 쪼개어 동작시키거나, 여러 개의 장치를 묶어 마치 하나의 장치인 것처럼
사용자에게 공유 자원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 호스트 가상화
    하드웨어 위에 기본이 되는 호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호스트 운영체제에 가상화 SW를 설치한다.
    호스트 가상화는 가상화 SW 위에 게스트 운영체제를 작동시키는 가상화를 말한다.
    가상화 SW를 설치해서 손쉽게 가상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호스트 OS 위에 게스트 OS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CPU나 메모리에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하드웨어에 가상화를 전담하는 SW인 하이퍼바이저를 배치해 HW와 가상환경을 제어한다.
    호스트 OS 없이 HW를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환경별로 다른 운영체제가 작동하므로 가상환경을 사용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 컨테이너 가상화
    운영체제에 논리적인 영역(컨테이너)를 만들고, 구역을 나눠 쓰며 마치 개별 서버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소프트웨어는 OpenVZ, LXC, Linux vServer, FreeBSD Jail, Solaris Zones, Docker 등이 있다.
    (책에서는 Linux vServer가 Lunix vServer로 오타가 나있었는데, 애너그램인가 해서 찾아보니 Linux였다.)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컴퓨터 자원 분산 기술의 일종으로 둘 혹은 셋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 혹은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의 작업을 나누는 것.


스케일업 (Scale-up)

서버 자체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여 처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일반적으로 고성능 CPU나 메모리 등을 추가 하거나 컴퓨터 장치 그 자체를 코성능 모델로 옮겨놓는 것을 의미한다.


스케일아웃 (Scale-Out)

물리적으로 서버를 늘려서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 서버가 늘어나기 때문에 로드 밸런싱 기술이 필수적.
서버 1대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다른 서버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서버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변화가 적은 서비스에 적합하다.


오토 스케일 (Auto Scale)

서비스가 집중되었을 때 서버 CPU 및 메모리 사용량이 일정 사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가상 서버 대수를 증감시키는 기능.
접속량이 돌발적으로 혹은 대량으로 증가하면 서버의 대수를 늘려서 대응하고, 접속량이 줄어들면 서버의 대수를 줄여서 불필요한 비용을 절약.


데브옵스 (DevOps)

데브옵스는 개발팀(Development)와 운영팀(Operation)을 뜻한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장되면서 개발과 운영을 통합하는 데브옵스 개념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당신이 지금 알아야할 AWS> 중에서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Amazon Web Service)란 무엇인가?  (0) 2021.10.11
Comments